1. 경과
- ’23.11월부터 업계 및 학계 전문가 등과 함께 「디지털 감사기술도입 지원 T/F」를 운영(*)하여 관련 다양한 감독 이슈 및 지원방안을 논의하고 관련 추진과제를 도출
2. 주요 추진과제
(1) 디지털 감사 활용 근거 및 품질관리 절차 명확화
- (현황) 현행 국내 회계감사기준 및 품질관리기준에는 디지털 감사기술 관련 내용이 포함되지 않아(*) 디지털 감사 활용 근거 및 프로그램의신뢰성 검증이나 데이터 보안 등에 대한 품질관리 절차가 불명확
(*) 국제기준의 경우 회계감사기준에서 디지털 감사기술 활용 근거 및 사례 등을 제시하고 품질관리기준에서 관련 기술 도입‧운영 관련 회계법인의 내부통제 등을 규정
- (추진과제) 회계감사기준 및 품질관리기준을 개정하여 디지털 감사기술 활용 근거 및 회계법인의 품질관리 절차를 명확화하고, 신뢰성 검증 및 데이터 보안 관련 실무지침, FAQ 등 디지털 감사 실무에 필요한 가이드라인 마련
(2) 표준감사시간 반영 검토
- (현황) 현행 표준감사시간은 디지털 감사기술 활용에 따른 감사시간 변동 효과를 별도의 요인으로 미반영
- (추진과제) 디지털 감사 효과의 표준감사시간 반영 여부 및 반영방안을 결정하고, 관련 영향에 대한 실증 데이터 확보방안 등 검토
(3) 회계법인간 격차 완화 및 전문인력 양성
- (현황) 디지털 감사 활성화를 위해서는 회계법인의 초기 시스템 구축 비용뿐만 아니라, 관련 전문인력 확보가 필수적이나, 회계법인 규모별 자금여력 및 관심도 차이 등으로 디지털 감사기술 도입 수준이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내부 교육 등에 큰 격차가 있음
- (추진과제) 초기 투자부담 경감을 위한 지원 방안 마련 추진, 박람회개최 등을 통해 중소형 회계법인의 디지털 감사에 대한 접근성 및 관심도를 제고하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회계법인의 품질관리수준 평가시 IT 교육 실적 반영, 한국공인회계사회 교육과정 확대·개편 등 추진
(4) 감사 데이터 표준화
- (현황) 디지털 감사기술을 효과적‧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감사 데이터를 적시(*)에 입수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 감사 데이터 표준은 없음
- (추진과제) 전문가 T/F를 구성하여 감사 데이터 표준화 등 추진
(5) 피감사기업 등 인식 제고
- (현황) 디지털 감사 수행을 위해서는 피감사기업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나, 대부분의 기업들이 디지털감사에 대한 이해도 및 관심도가 낮고 관련 효익에 대해서도 체감하지 못함
- (추진과제) 인식 제고 및 관심 확대 유도를 위해 한국상장회사협의회‧코스닥협회의 기업 대상 정기 설명회‧세미나 등에서 디지털 감사를 소개하고 디지털 감사 활용 사례(*) 등을 작성‧배포하고, 디지털 감사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 감사 활용 사항을 감사보고서 첨부서류(외부감사 실시내용)에 기재하도록 하는 방안 검토
(*) 디지털 감사 활용으로 기존에 발견하기 어려웠던 부정 및 내부통제 미비점 등을 발견하고 회사 내부감시기구와 공유하는 등 추가적인 가치 제공
3. 향후 계획
- 소관 기관별 과제가 일정에 맞춰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현안사항 공유 등 의사소통 및 협업을 지속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