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하반기 주요 경제 이슈 점검

미국 대선, 긴축시대 종료, 중국의 과잉생산, 매크로레버리지 | 삼일PwC경영연구원

’24년 상반기는 글로벌 경기가 예상보다 견조했으나, 하반기에는 향후 경제 기조에 큰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이는 미국 대선과 주요국 기준금리 인하 등의 이벤트가 산재해 있어, 경제주체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에 삼일PwC경영연구원에서는 하반기 경제를 둘러싼 주요 이슈를 면밀히 살펴보고,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을 점검해보고자 합니다.

1. 2024년 상반기 평가

  • 전반적인 실적 호조로 ’24년 경제전망은 지속 상향 수정 중(지난 3년간 GDP 성장률이 지속 하향 수정되었던 점과 대비)
  • 예상보다 견조한 미국∙중국 경기. 이에 힘입어 한국 성장률도 상향 조정
’24년 GDP 성장률 전망의 변화: ’23.10월 vs ’24.7월 (IMF) (단위: %)
글로벌 미국 EU 중국 일본 한국
2.9 → 3.2 1.5 → 2.6 1.2 → 0.9 4.2 → 5.0 1.0 → 0.7 2.2 → 2.5
국가별 성장률 전망 (단위: %)

※ IMF(’24.07), 삼일PwC경영연구원

2. 하반기 주요 이슈 분석

[이슈 1.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올해 가장 큰 변수]
  • 민주당 대통령 후보 교체 이후 해리스 vs. 트럼프의 여론조사 격차가 축소되며, 박빙의 승부가 전개
  • 후보별 주요 쟁점은 고율 관세 도입 / 소득세 및 법인세 개편 / ESG 대응 / 불법 이민 등
    • 미국 우선주의(중국 견제)라는 점에서는 양 진영간 동일한 입장, 그 외의 영역은 극명한 입장차
각 후보별 주요 공약
[이슈 2. 긴축시대의 종료: 속도가 문제]
  • 인플레이션 부담이 완화되며 각국 통화정책이 변곡점을 맞이하는 중
    • 다만, 기준금리 인하 속도와 폭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지나치게 높은데, 글로벌 경제가 급격한 하강보다 완만한 조정기를 겪을 가능성이 높은점 고려시, 금리수준에 대한 과대한 기대는 금물
  • 한국도 인플레이션 안정화 및 미국과 금리차 축소되며 하반기 금리인하 전망하나, 부동산시장 자극우려 등으로 속도는 빠르지 않을 것
[이슈 3. 중국의 중장기 성장여력 및 공급과잉]
  • 중국경제는 유효 수요가 부족한 상황이나, 정부 정책은 공급측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내수가 부진한 상황에서 공급 확대정책은 필연적으로 수출 증가 & 무역 상대국과의 마찰 초래 → 향후 글로벌 경제에 지속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 증가
중국 경제 발전 단계
[이슈 4. 한국의 매크로레버리지]
  • 팬데믹 이후 글로벌 전반 레버리지 상승했으나, ’22년 이후 디레버리징 진행되어 ’20년 이전 수준까지 하락. 반면, 한국은 지속적으로 부채규모 확대 중
    • 국내 명목 GDP대비 부채비율은 251%로 글로벌 평균(245%)보다 소폭 높은 수준(’23년 말 기준)
    • 차주별로는 기업 114%, 가계 94%, 정부 44% 順. ’20년 이후 가계∙기업의 부채 증가가 가파름
    • 기업부채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디스플레이∙건설∙에너지∙자동차∙통신의 부채비율이 부담. 특히 디스플레이와 건설은 ’21년 이후 부채비율이 더 높아진 상황으로, 금리상승기 이중고에 직면
업종별 부채비율 (단위: %)

※ Quantiwise, 삼일PwC경영연구원

3. 시사점

  1. 글로벌 전체적으로 현재 예상보다 성장률 상향 전망. 특히 미국∙중국 경기가 양호하며, 이에 힘입어 한국의 성장 전망치도 상승
  2. 디스인플레이션 + 노동시장 타이트닝 완화 → 긴축시대의 종료
  3. 게임 체인저로 작동할 변수로는 미 대선,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성장 경로
    • 미 대선 후보별 정책 방향성은 고율 관세 / ESG / 소득세 및 법인세 / 이민 / 외교 등에서는 극명한 입장 차를 보이는 만큼, 하반기 최대 변수
    • 중국의 정부 주도 & 공급 중심 기존 경제모델 변화 필요 → 유효수요 부족한 상황에서 지속적 공급 확대는 무역마찰 초래하며, 성장 모델의 한계 봉착
  4. 한국은 체감경기로 확산할 수 있는 정책 변화 속도가 중요
    • 글로벌 통화정책 발 리스크가 완화되는 것에 맞추어, 수출 증가가 내수 개선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경기회복에 초점을 맞춘 재정∙통화정책으로의 전환 필요
Follow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