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불확실성(리스크) 점검을 통한 대응 전략

세계화로 동반 성장하던 세계 각국은 2017년 이후 미·중 무역분쟁 등 脫세계화로 기존 글로벌 공급망이 균열되고 생산성 저하, 비용 상승이라는 위험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여기에 2020년 이후 COVID-19 팬데믹으로 경제 전반의 수급에 왜곡이 발생하였고 특히 2022년 2월에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의 봉쇄 정책 등은 자원과 식량을 무기화하는 보호무역주의(자국우선주의)를 심화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글로벌 경제는 새로운 인플레이션 시대로 진입하게 되었고 이는 통화긴축(금리인상)으로 이어져 글로벌 경기를 빠르게 수축시키고 있습니다. 

이에 삼일PwC경영연구원에서는 산재해 있는 다양한  글로벌 리스크 점검을 통해 경제주체들(기업, 개인)의 대응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합니다.

글로벌 경제 현황: 

3高(고물가, 고금리, 고부채) 시대

  • 현재 글로벌 경제는 경기순환 측면에서 정점에서 하락(둔화)하는 국면을 지나 위축되는 상황(수축국면)에 위치해 있으며 높은 물가로 Stagflation 상황과 유사한 국면으로 흘러가고 있음.

G20 국가의 물가 상승률 & 경기(5개월의 변화): 유로존 위험 부각 (단위: %p, pt)

자료: Bloomberg

(*1) G20 중 터키 제외 (터키 2021년 평균 대비 물가 상승률 64%p로 전체 왜곡)
(*2) 2022년 5월 말 대비 경기 상황이 좋아진 국가는 러시아,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태국이며 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국가는 러시아, 브라질임
(*3) 글로벌로 가장 심각한 지역은 유로존임(터키 포함) ⇢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 보임
(*4) 한국의 경우는 물가의 오름폭은 크지 않으나 경기 둔화가 뚜렷하게 나타남

경기 부진의 원인:

글로벌이 직면한 다양한 Shock

  • 22년 들어 펜데믹 와화에 대한 기대로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완만한 경기회복을 보이는 듯 했으나 2월말 이후 산재된 리스크로 인해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음. 특히 8월 이후 킹달러 현상이 지속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임.

글로벌  Shock 및 추가발생 가능 리스크

자료: 삼일PwC경영연구원

다양한 글로벌 리스크의 파급 경로(영향)

  • 글로벌 경제를 둘러싼 다양한 리스크를 점검하여 발생했거나 추가로 발생 가능한 파급 경로(영향)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산재된 글로벌 리스크의 파급 경로

자료: 삼일PwC경영연구원


주요 3대 리스크(경기둔화, 고금리, 강달러)에 따른 국내 산업별 영향    


3대 리스크에 따른 영향

자료: 삼일PwC경영연구원

결론

경제 주체들의 대응 방안

기업

1) 최대한 현금 유동성 중요한 국면, 2) 다만 유동성 여우가 있다면 Valuation 낮아진 성장동력 업종으로의 진출 기회 

  • 그렇다면 어떤 분야로 진출할 것인가: (1) 정부가 직접 투자 확대하는 분야(B2G), (2) 정부가 투자 유도하는 분야(정부에 의한 B2B 투자), (3) 탈세계화의 주도권 확보 조건은 '기술 우위에 있는 첨단기술 분야'로 모든 국가에서 중복 투자 발생 가능성 높음(반도체 포함 첨단 IT기술, 스마트시티,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바이오 등)
개인

안정적 수입원(근로소득)을 확보하고 자산소득에 대한 기회를 탐색하는 시기로 삼아야 할 것임.

  • 현재와 같은 복합 리스크 산재시 선별적인 안전자산으로의 비중을 높이거나 유지하는 전략이 바람직할 듯
  • 자산별 투자 순위채권(미국채, 국채 및 우량채권)> 원자재(금, 에너지, 곡물 위주) > 현금 > 리츠(물가연동 계약구조를 가진 리츠로 선별적 투자) > 주식(당분간 보수적 접근)
Follow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