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 이슈는 2018년 미국·중국 무역 전쟁으로 본격적으로 대두된 이후 COVID-19를 겪으면서 더욱 심화되었고 4차 산업(첨단기술 기술경쟁)의 헤게모니를 갖기 위한 각국들의 경쟁으로 그 상황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자본주의의 세계화로 대변되는 ‘자유주의적 국제질서’ 의 근간을 흔들면서 가장 큰 수혜국이었던 한국에 있어 매우 큰 위협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무엇보다도 대(對)중국 수출의존도가 25%에 달하는 우리나라 경제 구조상 미국과 EU의 ‘첨단소재 탈중국화’ 시도를 눈여겨봐야 할 시점이라 판단됩니다. 이에 삼일PwC경영연구원에서는 ① 자국중심주의(반도체 생산과 에너지 수출 등 안보 중시), ② 글로벌 공급망 블록화, ③ ESG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 과정이 향후 국내외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글로벌 공급망의 변천
※ 자료: 삼일PwC경영연구원
미국의 규제
유럽의 규제
1. (단기) 난처한 한국, 무역구조 변화 필요: 중국 중심 ⇢ 다변화 |
|
2. (국내기업) 해외 투자 방향성 전환: 저비용 생산국가 ⇢ 고비용 생산/소비 |
|
3. (글로벌) 인력난과 고비용 구조 해결을 위한 로봇, AI 산업 및 공장자동화 성장 가속화 |
|
4. (중장기 부작용) 산업금속의 공급과잉 초래 우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