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비트의 마법,

상상을 계산하는 양자컴퓨터 혁명

큐비트의 마법, 상상을 계산하는 양자컴퓨터 혁명
  • March 2025

2024년 12월 Google이 양자컴퓨터 칩 Willow를 내놓은 데 이어 2025년 Microsoft가 Majorana 1을 출시하며 양자컴퓨터 개발 전쟁의 막이 올랐습니다. 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에 양자역학 원리를 결합한 혁신의 산물로 일명 '꿈의 컴퓨터'로 불립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 시기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지만 장기적으로 양자컴퓨팅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데에는 별다른 반대가 없습니다. 이에 삼일PwC경영연구원에서는 양자컴퓨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금융, 물류, 화학, 제약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I. 기본 개념

양자 원자 · 전자 등 미시세계의 아주 작은 물질이나 에너지의 단위

  • 특징 ①: 본질적으로 여러 가지 상태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음(양자 중첩)
  • 특징 ②: 둘 이상의 양자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하나처럼 연결되어 상호작용(양자 얽힘)


양자컴퓨터: 
기존 컴퓨터에 양자역학 성질을 더해 기능을 향상시킨 컴퓨터

  • 기존 컴퓨터의 연산 단위인 비트(Bit) 대신 양자비트(Qubit, 큐비트)를 도입하여 여러 가지 계산을 동시에 수행 가능
  • 큐비트: 양자의 중첩과 얽힘 원리를 적용하여 0과 1의 정보를 동시에 갖는 양자컴퓨터의 기본 연산 단위

II. 시장 전망 · 산업별 활용

시장 전망

  • 글로벌 양자컴퓨터 시장은 연간 20%씩 성장해 2031년 32조원 도달 전망
  • 한국 양자컴퓨터 시장도 연간 20%의 성장률 예상 → 2031년 시장 규모 3,200억원 예상
글로벌 양자컴퓨터 부문별 시장 전망 (단위: 억원)


산업별 활용

  • 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풀 수 있는 잠재력 보유
  • 금융, 의료, 국방 등 산업 전반에 걸친 폭넓은 변화 기대
주요 산업별 양자컴퓨터 활용 분야

금융·리스크 분석

  • 차입 제한 등 제약 조건 하 포트폴리오 최적화
  • 실시간 파생상품 가치평가
  • 대량 시장 데이터 처리 및 고속 금융거래

제약·화학·신소재 등
(시뮬레이션)

  • 양자 시뮬레이션으로 신소재 특성 예측
  • 방대한 유전자 데이터 분석
  • 단백질 구조 예측

국방·항공우주

  • 스텔스 항공기, 미사일 탐지 차세대 레이더 기술
  • 양자 암호화를 통한 위성·지상 간 통신

에너지·물류·제조 등
(최적화 문제)

  • 대규모 전력망 내 배터리 최적 수량, 종류, 위치 결정
  • 차량 경로, 운송 스케줄링, 교통 신호를 고려한 스마트 교통 시스템
  • 다품종 소량 생산환경 내 공정 스케쥴링 최적화

머신러닝·AI·빅테이터

  • 양자기계학습을 통한 학습성능 강화, 학습시간 단축
  • 데이터 압축·축소 및 신속한 검색 기능 구현

사이버보안

  • 양자컴퓨터로도 풀기 어려운 양자내성암호 기술
  • 양자기술 도입으로 해킹 감지

Source: 삼일PwC경영연구원

III. 국가별 · 기업별 동향

주요 국가별 동향

  • 미국: 빅테크 중심 연구개발로 기술력에서 가장 앞선 선두주자(1,000큐비트 구현)
  • 중국: 공공부문 투자규모 최대(2018~2023년 양자연구 사업에 한화 19조원 투입)
  • 한국: 20큐비트 양자컴퓨터 개발 성공, 현재 50큐비트 개발 중 → 2035년 상용 양자컴퓨터 출시 목표
국가별 양자컴퓨터 기술수준


주요 기업별 동향

  • Google: 슈퍼컴퓨터로 10의 25제곱년 계산할 문제를 몇 분만에 해결 가능한 칩 Willow 발표(2024년)
  • Microsoft: 외부 환경적 요인에도 안정성을 강화한 칩 Majorana 1 발표(2025년)    
  • Amazon: 양자 오류 수정 비용 최대 90% 절감 가능한 칩 Ocelot 발표(2025년) 
  • 삼성전자: 하드웨어 양자내성암호를 탑재한 보안 칩 개발(2025년)
  • SK텔레콤: 양자내성암호를 응용한 하이브리드 암호장비 공개(2024년)

IV. 시사점 및 제언

  • 양자컴퓨터 분야는 아직 누구도 결정적 우위를 잡지 못한 태동기 단계
  • 후발주자인 한국도 핵심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면 선두로 도약할 기회는 충분
  • 이를 위해 미국 · 중국에 비해 미미한 국내 양자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대규모 R&D 투자와 산학연 협력 필요
주요국(미국 · 중국 · 한국) 양자컴퓨터 산업 수준 비교
Follow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