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 K-Food, K-Beauty, K-방산 등과 같이 K-수식어는 훈장처럼 국산의 우수성을 알리는 표시로 사용되어 왔다. K-수식어의 물꼬를 튼 것은 K-pop이지만 본격적으로 확산시킨 계기는 K-콘텐츠의 역할이 크다. 그러나 콘텐츠 업계의 위기의식은 그 어느때 보다 높다. 본 보고서에서는 K-콘텐츠의 인기와 그 파급효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거져온 콘텐츠 산업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콘텐츠 제작과 유통측면에서 콘텐츠 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바탕으로 향후 K-콘텐츠 산업이 지속적인 발전을 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시기별 주도 플랫폼의 변화] | |
---|---|
’90 ~ ’00년대 | ● 지상파 중심의 콘텐츠 공급 ● 지상파 의존적인 제작 시스템 |
’00년대 이후 | ● ’95년 유료방송시장 시작과 함께 방송채널 사용사업자(PP) 본격 출범 ● 유통 채널 다양화에도 지상파 매체 영향력 우세 |
’10년대 초중반 | ● PP와 지상파의 시청 점유율 격차 축소 진행 ● 방송 영향력 감소 ● 온라인 콘텐츠 이용 증가 및 온라인 매체 영향력 확대 |
’10년대 중반 이후 | ● 모바일 디바이스 확산으로 모바일을 통한 콘텐츠 소비 확대 ● PP-지상파 시청 점유율 격차 축소 가속화 ● OTT 등장 & 스트리밍 서비스 성장 |
’20년 이후 | ● ’19년 넷플릭스의 한국 진출 및 ’20년 코로나 팬데믹을 기점으로 OTT 영향력 확대 ● 소셜미디어 플랫폼 영향 확대 ● 모바일을 통한 콘텐츠 소비 보편화 |
’20년대 중반 ~ | ● 기술과 플랫폼의 융합 시대 ● 방송-통신, 방송-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 융합 시기 |
Source: 삼일PwC경영연구원
Source: 언론자료, 삼성증권,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 삼일PwC경영연구원
[전략적 제언] | |
---|---|
구분 | 주요 내용 |
산업·기업 | 1. 대형화 및 자본력 강화를 위한 투자 ● 경쟁력 있는 IP, 기술 및 인력 확보를 위한 국내외 투자 및 협력 ● 제작사간 규모의 경제 확대 |
2. 수익구조 다변화 ● IP 확보 및 활용을 위한 수익구조 다변화 |
|
3. K-플랫폼의 대형화 및 글로벌화 확대 ● 플랫폼 경쟁력 강화 및 현지 진출 확대 |
|
4. ESG를 고려한 제작·경영 환경 조성 ● ESG 고려한 콘텐츠 제작 실천 |
|
정부 | 5. 실효성과 적시성 있는 정부 정책 확대 ● 실효성을 고려한 구체적이고 신속한 정책 지원 요구 ● K-플랫폼 지원 강화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