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ESG 관리 규제화에 따른 중견·중소기업 ESG 대응 Needs 확대
ESG의 규제 환경은 수시로 변화하고,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EU CSDDD(Corporate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Directive) 규제가 발효되면서 공급망 ESG 관리 중요성이 확산되며, 고객사의 ESG 대응 요구에 맞추기 위해 중견·중소기업들에게 ESG 관리는 필수 추진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에게 새로운 도전분야인 ESG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춘 새로운 인적자원 투입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많은 기업들이 ESG 업무 내재화에 한계
문제 1. ESG 전담 인력 유지 어려움 |
---|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고객사의 ESG 대응 요구와 늘어나는 ESG 관련 규제들을 기존 인력이 기존 업무와 병행 대응 한계 |
▼ |
새로운 인력을 채용하기 쉽지 않고, 채용한 인력이 ESG 업무 역량 축적 후 이직하는 등 전담 인력 유지 어려움 |
▼ |
✓ 우리는 ESG 대응 인력이 필요한가? |
문제 2. ESG 투입 자원 한계 |
---|
ESG 담당 인력을 운영한다고 하더라도 탄소측정, 평가대응 등 전문적인 업무는 또다시 외부 컨설팅 자문이 필요 |
▼ |
전문성이 필요한 ESG 업무 특성을 고려 시 인적자원 투입 뿐만 아니라 추가 비용을 투자하여야 하므로 기업에게 이중부담 발생 |
▼ |
✓ ESG 관리를 위한 투자비용을 충분히 지불 가능한가? |
안정적인 Solution/System 기반 ESG 내재화를 위한 전문 Support 필요
ESG 전담 인력이나 전담 조직을 구성할 수 없는 기업에게는 회사의 현황과 고객의 요구 수준을 고려하여 외부 전문가의 지원을 받는 것이 회사의 ESG 운영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이 될 수 있습니다.
외부전문가로부터의 All managed service를 통해 필수적인 기업경쟁력 확보
회사의 ESG 운영을 삼일PwC 전문 Consultant가 대신 수행
인력부족으로 수행하기 어려웠던 ESG 업무를 삼일PwC Sustainability 전문 Consultant가 직접 대행 |
빠르고 정확한 Insight 제공 |
삼일PwC Sustainability Platform의 Knowledge와 DB를 담아 개발된 AI/Digital Tool 기반 Solution 제공 |
내재화 가능한 Tool/System 제공 |
회사에게 필요한 여러가지 필수 데이터를 단계별로 생성·관리하며, 업무 수행 결과 모니터링 가능 |
회사별 맞춤 매월 진행업무보고 |
합리적 금액의 Managed service를 통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ESG 운영 가능
강찬영 Partner
윤영창 Partner
이보화 Partner
박경상 Partner
송준달 Partner
김한내 Part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