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의 ESG 딜레마

삼일PwC Sustainability Platform

ESG 아젠다가 중요해지면서 기업의 경영 패러다임도 변하고 있다. CEO들은 장기적 관점인 ‘ESG 목표 달성’과 투자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단기 수익률 창출’이라는 이중 과제를 안게 되었으며, 이것이 바로 CEO의 ESG 딜레마다.

최근 PwC 설문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자들은 거버넌스, 온실가스 배출감소 등의  ESG 관련 성과를 주요 5가지 비즈니스 우선순위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역설적이게도 응답자의 81%는 ESG 목표 달성을 위해 1% 이하의 수익 감소만 허용할 것이라고 답변하였으며, 해당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는 어떠한 수익율 감소도 허용하지 않겠다고 답변하였다.

이러한 시장의 요구와 기대 속에서, 기업들은 장기적 관점의 ESG 전략을 추구함과 동시에 투자자들이 요구하는 단기적 성과 간 적절한 균형점을 찾아야만 한다. PwC는 CEO 및 비즈니스 리더들이 ESG 추진에 있어 꼭 실천해야 할 사항을 아래와 같이 제시한다.

1. 기업의 고유한 전략적 방향성 설정과 ESG 포지션 정의

시장 환경과 소비자와 투자자의 니즈가 빠르게 변화해가고 있는 가운데, 이럴 때일수록 ESG 관점에서 기업의 정체성과 향후 기업이 나아가야 할 명확한 방향성 및 목표를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기업의 정체성과 상황, 문화에 맞는알맞은 ESG 전략 방향성 수립은 기업이 향후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포착과 및 가치 창출을 위해 참여할 ‘비즈니스 생태계(Ecosystem)’를 선택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설득시킬 수 있는 탄탄한 ESG 스토리(Narrative)를 만들 수 있는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다.

기업이 추구하는 ESG 방향성 설정을 위해 기업의 ESG 포지션을 크게 4가지 유형(순응주의자, 실용주의자, 전략가, 이상주의자)으로 제시한다.

[ESG 전략적 포지션 정의하기]

ESG 전략적 포지션 정의하기

2. ESG 생태계(Ecosystem) 구축

시장의 선두 기업이라 할지라도 혼자서는 비즈니스 생태계에서 살아남을 수 없고, 기업의 ESG 방향성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완벽한 생태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에게 적합한 생태계를 찾거나 새롭게 구축하여 파트너들과 함께 협력하는 구조는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성공적인 ESG 생태계 구축을 위한 5가지 방안]

① 모든 이해관계자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최적의 관계 설정 (Map the influences)

② 기업이 필요한 역량 확보 및 파트너십 구축 (Get the capabilities you need)

③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위한 신뢰 형성 (Build the trust that makes it work)

④ 위기 상황까지 고려한 Plan 수립 (Plan for the end)

⑤ ESG 문화 조성 (Nurture your ecosystem culture)

3. 기업이 가진 ESG 스토리(Narrative)의 힘

투자자들은 그들이 ESG 아젠다를 지지한다고 하더라도 본인들의 이익이 감소하는 것은 꺼려한다. 그렇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ESG 스토리를 만드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 ESG 스토리에는 사실과 목표 등 이성적인 요소가 포함되어야 함과 동시에 ESG 전략에 대한 긴급성, 신뢰, 가치, 투명성, 희망 등의 감성적인 요소들도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행가능성’이 충분히 담보되어야 한다. 그린워싱(Greenwashing, 위장환경주의)은 금방 탄로날 것이고, 이는 결국 기업에 대한 신뢰를 잃게 만들 것이기 때문이다.

기업 고유의 ESG 스토리는 기업과 조직 구성원들을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생각과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 및 생태계 참여자 모두 재무적 관점의 ‘단기적 성과’보다 환경 및 사회적 가치까지 포함하는 ‘장기적 가치’에 더욱 집중하게 될 것이다.

Contact us

Sustainability Platform

Samil PwC, South Korea

Follow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