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ef Sustainability Officer

ESG 신뢰와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열쇠

투자자의 80% 이상이 ESG 리스크를 투자 의사결정의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고1) 소비자의 48%가 구매 의사 결정에 있어서 ESG를 고려한다고 답을 한 바 있다. 밀레니얼 세대의 83%가 ESG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한편, 직원의 57%가 사회를 더 공정하게 만드는 것이 모든 기업의 목적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것에서 보듯이 지속가능성은 젊은 인력을 유인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따라 ESG에 대한 전 세계 기업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많은 경영진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 지 확신이 서지 않는 상황이다.

1) Source : PwC 2021 Global Investor Survey

Key Takeaways

CSO 보유 비율 (글로벌 상장사 1,640개 대상)
  • PwC가 조사2)한 1,640개 기업 중 공식적인 Chief Sustainability Officer (CSO)를 보유한 기업은 약 30%이며, 약 50%가 제한적인 역할을 하는 CSO를 보유
  • 2020년과 2021년, 2년간 선임된 CSO의 수가 그 이전 8년간 선임된 총 CSO 수와 같을 정도로 최근 CSO의 수가 빠르게 증가
  • ESG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기업의 98%가 CSO를 보유 - CSO 보유 기업의 ESG 성과와 경쟁력이 그렇지 않은 기업 대비 뛰어난 것으로 확인

2) 전 세계 62개국 1,640개 글로벌 상장 기업의 CSO 현황 조사

ESG가 점차 기업 비즈니스의 중심으로 들어오면서 CSO의 역할이 다음과 같이 확대되고 강화되고 있다.

확대·강화되는 CSO의 역할

확대·강화되는 CSO의 역할 1

백오피스 규정 준수 역할에서
비즈니스의 중심으로

확대·강화되는 CSO의 역할 2

경영진과 이사회의
ESG에 대한 인식 제고

확대·강화되는 CSO의 역할 3

ESG의 전사 확산
ESG 보고·공시 주도


CSO를 최고 의사결정자 그룹에 포함시키거나 직접 보고하게 하여 ESG 추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하고 기업의 ESG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 지속가능성 경영 전환을 촉진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CSO 보유 현황

  • 글로벌 상장사 1,640개를 조사한 결과, CSO의 30%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그 수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
  • ESG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기업의 거의 대부분(98%)은 CSO를 보유
  • CSO의 활동은 산업마다 차이가 있음. 활발히 활동하는 CSO의 비중은 소비재 산업이 50%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화학 산업 45%, 석유 및 가스 산업 42% 순으로 높음. 반면 제약 산업과 은행업에서는 25%로 상대적으로 낮음
산업별 CSO 활동 정도
ESG 평가 점수 vs. CSO 보유 및 역할

CSO의 커리어 백그라운드

  • CSO의 34%는 사내외 지속가능성 부서 또는 유관 부서 출신이며, 30%는 지원 부서(재무, HR, 구매), 현업 부서, 전략(컨설팅, 사업개발 등) 백그라운드를 보유. 15%는 법무, 홍보, 투자 부서 출신
  • 지속가능성 부서와 현업 부서를 모두 경험한 CSO의 비중은 약 20%로서 이는 두 영역에 걸쳐 균형 잡힌 역량을 보유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
CSO의 직군별 백그라운드
CSO의 사내외 채용·직급별 구분

CSO 역할의 트렌드

1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ESG 이슈에 대한 통찰 제공

과거에는 지속가능성이 건강, 안전, 홍보 이슈로서 핵심 의사결정자의 관심에서 멀었고 전사 전략에 미치는 영향도 적었음. 그러나, 최근 기업들은 이해관계자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사명과 가치가 무엇인지 정의하고 브랜드 목적3)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음. 따라서 오늘날의 CSO는 비즈니스의 모든 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하며 ESG 이슈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간파하여 복잡한 이슈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함

3) Brand Purpose. 이윤 창출을 넘어 브랜드가 존재하는 이유

2  최고경영진에 대한 접근성 제고

CSO를 최고 의사결정자 중 하나로 포함시키거나 CSO가 CEO 또는 이사회 구성원에게 직접 보고하면, ESG 이슈에 대한 경영진의 인식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음. 조사에 따르면 CSO의 약 절반이 C레벨보다 두 직급 이상 아래에 위치하는 등 최고경영진에 대한 접근성이 저조. 다행히 2016년 CSO의 9%만이 C레벨이었던 것에 비해, 2021년에는 28%로 3배 이상 증가

3  ESG 전사 확산 및 업스킬링

기업이 지속가능성을 전략과 오퍼레이션에 적용하면서 ESG 지식을 기업 내부 전체에 확산해야 하므로 CSO와 지속가능성 부서는 전문가로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에 대해 직원들을 업스킬링하는 것이 중요. 또한 자사의 지속가능성 전환에 도움이 되는 산업 내외부 조직과 연계

4  ESG 보고·공시 주도

기업이 ESG 활동 내역을 적절히 공시하지 못하면 투자를 유치하거나, 기업 운영을 위한 사회적 허가(Social License to Operate)를 확보하기 어려움. 유럽과 미국을 포함해서 전 세계적으로 ESG 공시 기준 안이 제정되는 가운데, 기업이 체감하는 보고·공시에 대한 압력은 증가하고 있음. CSO는 ESG의 가치와 영향을 정량화하고 공시하는데 핵심적인 역할

CSO와 ESG팀에 대한 제언

중앙집중형 ESG팀 구성

ESG 여정의 초기 단계에 있는 기업은 사내 인식 확산을 위해 중앙집중형 ESG팀을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임. 이후 기업이 ESG 실행에 익숙해지고 일상 업무에 밀착하여 ESG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해지면, 현업 부서로 ESG 추진을 위임하는 경향 존재.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중앙집중형 ESG팀은 전사 차원의 기회와 위기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여전히 유의미


이사회에 대한 접근성 강화

CSO가 이사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려면 CSO를 이사회 구성원으로 임명하거나 이사회 구성원에게 직접 보고하는 체계가 필요. CSO를 이사회 구성원으로 임명하면 지속가능성을 강력히 실행하겠다는 신호가 되어 전사의 ESG 추진에 기여. 탑 레벨에서 ESG를 주도하면 ‘지속가능성은 비즈니스의 핵심이 아니다’라거나 ‘수익성을 해칠 수 있다’라는 고정 관념을 극복할 수 있음

Contact us

Sustainability Platform

Samil PwC, South Korea

Follow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