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PwC Sustainability Newsletter Vol.24

글로벌 지속가능성(ESG) 공시 인증 기준 ‘ISSA 5000’ 확정

Background image
  • News Letter
  • October 2024
심재경 Partner

심재경 Partner

Sustainability Platform, Samil PwC

글로벌 3대 지속가능성(ESG) 공시 기준이 확정되면서 주요 국가의 규제기관도 공시 제도와 기준을 제정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지난 9월 국제감사인증기준위원회(IAASB*)가 지속가능성(ESG) 인증 기준인 ISSA 5000**을 최종 승인했습니다. 기업의 지속가능성 정보에 대해서도 국제적으로 통일되고 비교 가능한 인증 기준이 마련된 것입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글로벌 표준 인증 기준이 될 ‘ISSA 5000’과 기업 준비 사항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IAASB: International Auditing and Assurance Standards Board 
** ISSA 5000: International Standard on Sustainability Assurance 5000 

 

표준화된 지속가능성(ESG) 공시 인증의 필요성 

기업이 공개하는 지속가능성 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하려면 독립적인 제3자가 검증된 방법과 절차를 통해 정보를 인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와 이해관계자의 올바른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허위 공시와 그린워싱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마치 기업이 재무제표 감사를 통해 재무 상태와 성과를 인증 받는 것처럼, 지속가능성 정보도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글로벌 투자자는 지속가능성 정보에 대해 신뢰할 만한 수준의 인증을 요구합니다. PwC가 지난해 9월 글로벌 투자자 3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94%가 기업의 지속가능성 정보에 그린워싱 같은 허위 정보가 포함돼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여러 투자자들이 기업이 제공하는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믿지 못하는 것입니다. PwC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립적인 제3자의 인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85%의 투자자는 재무 감사와 동일한 수준의 인증을 받은 보고서를 신뢰한다고 답했습니다.

국가별로 도입되는 지속가능성 공시 규제도 마찬가지입니다. 글로벌 3대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이 마련되면서, 주요국을 중심으로 지속가능성 공시와 인증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인증 기준은 국제감사인증기준위원회(IAASB)가 제정한 ‘ISAE 3000*’과 영국의 비영리 단체인 어카운터빌리티(AccountAbility)가 개발한 ‘AA1000AS**’입니다. 그러나 두 인증 기준의 접근 방식, 인증 과정과 적용 범위가 달라, 지속가능성 정보 인증에 대한 표준화된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국제사회에서 제기돼 왔습니다. 

*  ISAE 3000: International Standard on Assurance Engagements 3000 (국제인증업무기준) 
** AA1000AS: AcountaAbility1000 Assurance Standard (AA1000 인증 기준) 

 

유럽도 채택 예정인 인증 기준 ISSA 5000

지난해 8월 국제감사인증기준위원회(IAASB)는 기존의 ISAE 3000을 고도화한 ISSA 5000 초안 공개 후,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진행해 지난달 최종 확정했습니다. IAASB는 국제회계사연맹(IFAC*)의 산하기관으로 재무회계 감사와 관련된 글로벌 기준을 설정하는 주요 기관입니다. IAASB는 기업의 재무제표 감사에 대한 국제 표준인 국제감사기준(ISA**)을 개발했고, 해당 기준은 한국을 포함한 130여 개 국가가 도입 및 채택하고 있는 감사 기준입니다. 

IAASB에 따르면, ISSA 5000은 기업의 지속가능성 정보에 신뢰성을 높이고 이해관계자가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올바른 판단을 내리도록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인증 기준입니다. 즉, ISSA 5000은 기업이 제공하는 지속가능성 정보 인증을 하는 담당자가 해당 정보에  중대한 오류가 없는지 확인하는 데 필요한 절차를 제시합니다. 인증 담당자는 기업이 제공한 정보에서 중요한 부분이 빠지지 않았는지, 잘못된 정보로 오해를 일으키지 않았는지에 대한 증거를 얻기 위해 절차를 설계하고 수행합니다. 

ISSA 5000은 ISSB의 IFRS S1&S2를 포함한 글로벌 주요 공시 기준을 중심으로 개발돼 폭넓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글로벌 인증 기준의 표준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유럽은 CSRD에 따른 지속가능성 공시의 인증 기준으로 ISSA 5000를 채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인증 기준 선정에 대해서는 국내외가 큰 차이가 있습니다. 지난 5월 한국공인회계사회가 개최한 ‘제10회 ESG 인증포럼’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78%가 지속가능성보고서 인증에 적용한 기준은 ‘AA1000AS’이었습니다. 반면, 글로벌 기업의 92%는 ISSA 5000이 제정되기 전까지 ISAE 3000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향후 IAASB에서는 ISSA 5000을 중심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업은 해당 기준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대비해야 합니다.  

* IFAC: International Federation of Accountants 
** ISA: International Standards on Auditing 

 

지속가능성 정보도 관리하는 시대···기업 준비 사항은? 

일반적으로 재무제표 감사는 '합리적 확신*' 수준으로 수행되며, 재무제표 검토는 이보다 낮은 '제한적 확신**' 수준으로 이뤄집니다. EU와 미국은 초기에는 재무제표 검토와 동일한 수준인 '제한적 확신' 수준의 인증을 요구하지만, 향후에는 재무제표 감사와 유사한 '합리적 확신' 수준의 인증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ISSA 5000은 주요국의 인증 요구 수준 등을 반영해 지속가능성 정보에 대한 합리적 확신 및 제한적 확신 수준의 인증 절차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속가능성 정보 역시 재무 정보와 마찬가지로 엄격하게 관리해야 하는 시대가 왔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기업은 다음 사항을 준비해야 합니다. 

*  합리적 확신: 재무감사에 준한 수준의 인증으로, 제한적 검증보다 강화된 긍정적 의사 표시 형태의 인증 
** 제한적 확신: 중대한 위반 사항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정도의 인증

① 거버넌스 기구의 지속적 관심과 전문성이 관건  

기업이 제공하는 지속가능성 정보의 신뢰성 확보 및 리스크 최소화의 핵심은 기업의 거버넌스에서 시작됩니다. 지속가능성 정보를 재무 정보와 같은 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해 경영진과 이사회는 자원을 적절히 배분하고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하며, 지속가능성 정보 인증 기준을 반영한 명확한 정책과 절차를 마련해 정보가 정확하게 관리되도록 방향을 제시해야 합니다.

기업의 이사회와 감사위원회의 전문성도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복잡한 지속가능성 이슈를 이해하고, 정보 공시와 인증 절차를 전문적으로 관리 감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기업은 이사 선임 시 지속가능성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전문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지속가능성 관련 성과와 보상 체계를 마련하고, 이사회와 감사위원회, 경영진을 포함한 전체 거버넌스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데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② 지속가능성 정보 관리 시스템과 내부통제 프로세스 재점검 

기업의 지속가능성 전략과 목표 달성을 위해 정보 관리 시스템과 내부 통제 프로세스 구축은 기본 사항이 됐지만, 기업은 이를 더욱 주의깊게 살펴보고 재점검 해야 합니다. ISSB의 IFRS S1&S2와 EU의 ESRS에서는 정보의 검증 가능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보고된 정보가 신뢰할 수 있고 명확하게 검증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앞으로 기업이 제공하는 지속가능성 정보가 왜곡돼 표시되지 않았다는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기준을 명확히 확립하고, 정확한 데이터 확보 및 관리 절차와 규정 마련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기업이 정보의 완전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한 프로세스와 컨트롤이 구축돼야 외부 인증을 통해 적정 의견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③ 고도화된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인증 기관 선정 

기업은 향후 전문성을 갖춘 제3자 인증 기관을 선정해야 합니다. 이때 기업은 선정 기준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기업 재무 정보와 지속가능성 정보를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고도화된 전문성을 바탕으로 인증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가? 
    • 주요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모두 ‘지속가능성 정보와 재무제표의 연계성’을 강조합니다. 인증 기관이 재무 정보와 지속가능성 정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상호작용을 이해하며 평가하는 데 강점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기업의 리스크 관리 체계와 내부 통제를 검토하는 데 풍부한 경험이 있는가?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 요소를 적절히 평가하고 반영할 수 있는가? 

    • 지속가능성 정보 인증은 기업의 리스크 관리 체계와 내부 통제를 검토하는 과정으로, 인증 기관의 관련 경험과 전문성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인증 기관이 지속가능성 리스크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능력이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글로벌 투자자 및 시장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인증 기관인가?  

    • 글로벌 투자자가 일관되고 비교 가능한 인증 기준을 적용한 정보를 더 신뢰하는 만큼,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춘 인증기관이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한 인증 절차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IAASB는 최종 확정된 ISSA를 기반으로 연말까지 공식적으로 발간할 예정이며, 2025년 1월에는 다양한 지침 및 적용 자료를 발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ISSA 5000은 지속가능성 정보의 인증 측면에서 글로벌 표준화 이끌고, 정보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일PwC 전문가 Pick! Sustainability News

Contact us

권미엽 Partner

Sustainability Reporting & Assurance, Samil PwC, South Korea

Tel: 02 709 7938

소주현 Partner

Sustainability Advisory Tax, Samil PwC, South Korea

Tel: 02 709 8248

곽윤구 Partner

Sustainability Advisory Deals, Samil PwC, South Korea

Tel: 02 3781 2501

하미혜 Managing Director

거버넌스센터, Samil PwC, South Korea

Tel: 02 709 8599

Follow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