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PwC Sustainability Newsletter Vol.25

기업 탄소 관리 전략 A to Z

Background image
  • News Letter
  • October 2024
송준달 Partner

송준달 Partner

Sustainability Platform, PwC Consulting

탄소는 이제 기업의 일상적 경영관리 대상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한 조직, 인력, 시스템 등의 인프라 확보는 더 이상 미루기 어려운 과제가 됐습니다. 인프라 확보 방안은 기업의 사업 환경, 경영 철학, 보유 자원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최근 주요 기업을 중심으로 제3자가 제공하는 탄소 관리 솔루션 및 서비스 활용이 탄소 관리 인프라 확보를 위한 유력한 방안 중 하나로 떠올랐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자사 역량을 기업의 핵심 가치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기업의 탄소 관리를 위해 고려할 사항과 제3자 서비스 활용 시 검토 사항을 집중적으로 알아봅니다. 

 

탄소 관리 동향: 기업의 필수 과제가 된 탄소

최근 탄소중립을 포함한 기업의 지속가능성(ESG) 활동은 매출, 원가, 인사 등과 같은 일상적 경영관리 대상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여러 기업이 ESG 및 탄소중립 전략을 통한 차별화를 추구하고, ‘탄소발생 = 비용’이라는 인식에 따라 탄소 관리를 사업 경쟁력 확보의 수단으로 활용합니다.

대한상공회의소 조사에 따르면,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국내 기업 가운데 60.3%는 탄소중립이 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습니다. 경기 악화, 정책 지원 부족, 인프라 불충분 등으로 실제 투자로 이어지는 사례는 적지만, 정부 지원 등 제반 여건이 마련된다면 탄소 투자에 기업 참여가 활발해질 가능성이 주목됩니다.  

국내외 고객사 및 협력사의 요청에 따라 탄소 감축은 필수 과제가 됐고, 기업은 자사에 적합한 탄소 배출 측정, 관리 및 공시, 탄소중립 전략 수립 및 실행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탄소 관리 Pain Point: 데이터 취합 + 배출량 산정 + 제3자 검증

한편 여러 기업들은 여전히 탄소 배출 측정과 관리를 위한 데이터 취합, 배출량 산정, 제3자 검증 과정에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관리하면 오류 또는 정보 누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사업장 및 담당자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 집계 방식이 달라, 각 사업장에서 나온 데이터의 관리 및 운영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출량을 산정할 때 사업장 및 담당자에 따라 탄소 배출량 산출 방식(사업장, 배출시설, 배출활동, 산정식, 활동자료, 배출계수 등)이 다르거나, 산출 결과에 대한 정합성 검증이 부재하거나 불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제3자 검증 시, 데이터 산출 내역, 증빙 등이 담당자 PC에서 관리되기 때문에 데이터 원천과 산출 과정을 비롯한 이력 관리가 어렵습니다. 또한 회사 조직 변경에 따라 산출 이력과 노하우가 유실될 위험도 있으며, 데이터 취합, 배출량 산정, 검증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이런 어려움은 조직, 인력, 시스템 등의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중소 또는 중견 기업에서 더욱 크게 나타납니다. 
 

기업 탄소 관리 3가지 Pain Point

기업 탄소 관리 3가지 Pain Point

 

기업이 고려할 3가지 핵심 사항 

탄소 데이터 누락, 배출량 정합성 미흡, 관리 시간 및 노력 과다 등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기업이 탄소 측정과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려면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첫째, 데이터 완전성입니다. 공시 요구사항, 외부 평가항목, 내부 핵심성과지표(KPI) 등을 고려해 산출 대상 데이터를 정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둘째, 데이터 정합성입니다. 탄소 데이터 및 로직의 정합성을 확인해 정확성, 적시성, 명확성, 비교가능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탄소 데이터에 대한 증빙 자료 제출, 재계산 검증 및 분석적 검토가 필요합니다. 또한 담당자 검토, 책임자 승인 및 증빙 문서화에 기반한 데이터 측정과 집계 산출 프로세스를 체계화해야 합니다.
  • 셋째, 통합관리 시스템입니다. 마스터 데이터, 기초 데이터, 관련 증빙, 산출 결과, 변경 이력 등 탄소 데이터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 데이터베이스(DB)를 구현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측정, 집계, 산출 및 공시 전 과정(End-to-End Process) 수행을 지원하는 탄소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효율적인 탄소 측정 및 관리 위한  3가지 고려 사항

Data 완전성
  • 공시 요구사항, 외부 평가항목, 내부 KPI 등을 고려하여 산출 대상 Data 정의
Data 정합성
  • 탄소 Data 및 로직의 정합성 확인을 통해 정확성, 적시성, 명확성, 비교가능성 및 신뢰성 확보
  • 탄소 Data에 대한 증빙 대사, 재계산 검증 및 분석적 검토로 신뢰성 확보 기반 마련
  • 담당자 검토, 책임자 승인 및 증빙 문서화에 기반하여 Data 측정과 집계 산출 Process 체계화
통합관리 System
  • Master Data, 기초 Data, 관련 증빙, 산출 결과, 변경 이력 等 탄소 Data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 DB 구현
  • Data 측정, 집계, 산출 및 공시 End-to-End Process
    수행을 지원하는 탄소 관리 System 구축

 

탄소 관리 솔루션 및 서비스 활용

대부분의 중소 및 중견 기업은 탄소 데이터의 완전성과 정합성을 관리하기 위한 조직과 인력을 확보하고, 통합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이때 고려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 제3자가 제공하는 탄소 관리 서비스입니다.

제3자가 제공하는 탄소 관리 서비스 유형에는 ‘탄소 관리 솔루션’ 제공과 ‘배출량 산출 업무’ 대행이 있습니다.
 

제3자 탄소 관리 서비스: ‘탄소 관리 솔루션’과 ‘배출량 산출 업무’

제3자 탄소 관리 서비스: ‘탄소 관리 솔루션’과 ‘배출량 산출 업무’
① ‘탄소 관리 솔루션’ 제공 서비스 

탄소 측정과 관리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하고자 하는 기업은 ‘탄소 관리 솔루션’ 도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소스를 기반으로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고, 이를 공시 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기준 정보 관리, 인벤토리 관리, 입력 및 산정, 대시보드 및 게시판 기능을 제공합니다.

탄소 관리 솔루션 선정할 때, 아래 5가지 사항을 검토해야 합니다. 

  • 첫째, 올인원(All-in-One) 통합 솔루션인가?
    스코프(Scope) 1, 2, 3 관리를 위한 데이터 입력, 분석, 및 관리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가? 입력 및 승인 관리에 의한 내부통제 및 증빙자료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가?
  • 둘째,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경험(UI/UX)를 제공하는가? 
    실무자의 실제 작업 흐름(workflow)에 근거한 메뉴 구성과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실수인 휴먼 에러(Human Error)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경험(UI/UX)을 적용했는가? 
  • 셋째, 산업 특성을 반영한 최신 로직과 배출계수 제공하는가?
    주요 산업 데이터를 탑재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데이터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하는가?
  • 넷째, 제3자 검증을 통한 데이터 정합성 확보를 지원하는가? 
    제3자 검증기관 계정 발급 및 조회 권한 부여를 통해 외부 검증기관의 데이터 검토를 지원하고, 사업장별 인증 이력 및 인증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가?
  • 다섯째, 데이터 관리를 위한 다양한 리포트를 제공하는가? 
    스코프·사업장·배출시설·온실가스별 대시보드 뿐만 아니라 연결 공시 대비를 위한 연결 그룹 데이터 조회 리포트를 사용할 수 있는가?
     
② ‘배출량 산출 업무’ 대행 서비스 

탄소 측정과 관리를 위한 인력과 조직을 갖추기 어려운 회사는 ‘관리 체계 구축’ 업무 및 ‘탄소 배출량 산출’ 서비스 활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관리 체계 구축 업무는 1. 조직 경계 설정, 2. 예상 배출원 목록 작성, 3. 배출원 조사, 4. 배출원 분류 및 산출 로직 정의 업무를 포함합니다. 탄소 배출량 산출 서비스는 1. 데이터 취합, 2. 배출량 산정, 3. 제3자 검증 지원, 4. 인벤토리 구축 완료 단계로 이뤄집니다. 
 

관리체계구축 1.조직 경계 설정 탄소 측정에 포함할 조직 범위 규정
2.예상 배출원 목록 작성 탄소 발생이 예상되는 배출원 목록 작성
3.배출원 조사 각 배출원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종류 및 규모 조사
4.배출원 분류 및 산출 로직 정의 Scope 별배출원 분류 및 산출 로직 정의
탄소배출량산출 1.데이터 취합 배출원별 활동자료 수집 및 정리
2.배출량 산정 탄소 배출 규모 산정
3.제3자 검증 지원 외부 검증을 통한 인벤토리 정확성 및 신뢰성 확보
4.인벤토리 구축 완료 연도별 탄소 배출량 기록

 

탄소 관리는 이제 기업의 일상적 경영관리 대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한 조직, 인력, 시스템 등의 인프라 확보는 더 이상 미루기 어려운 과제가 됐습니다. 자사의 사업 환경, 경영 철학, 보유 자원 등을 고려해, 이에 대한 준비, 계획, 실행을 어떻게 할지 고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탄소관리 지원센터

편리하고 정확한 All-in-One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지원 서비스

삼일PwC 전문가 Pick! Sustainability News

Contact us

권미엽 Partner

Sustainability Reporting & Assurance, Samil PwC, South Korea

Tel: 02 709 7938

소주현 Partner

Sustainability Advisory Tax, Samil PwC, South Korea

Tel: 02 709 8248

곽윤구 Partner

Sustainability Advisory Deals, Samil PwC, South Korea

Tel: 02 3781 2501

하미혜 Managing Director

거버넌스센터, Samil PwC, South Korea

Tel: 02 709 8599

Follow us